2021대수능기출풀이

미키박쌤의 2021년 대수능(2020년 12월 3일 시행) 40번 지문 해석 및 이해를 위한 상세 해설

미키박 2021. 1. 19. 15:47
728x90

목동과 송도의 열정쌤

 

재미짐영어 미키박 쌤입니다

 

오늘도 열공하러 오셨군요!

 

환영합니다!!

 

 

 

 

여러분의 실력 향상을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반가워서 그러는 거지 미키?

 

 

 

 

오늘은

여러분들이 '이해'하는 데

많은버거움을 느끼시는

'2021년 대수능(2020년 12월 3일 시행) 40번'

지문 해석 및 이해를 위한

상세 해설을

포스팅하겠습니다.

 

 

 

 

​활용 순서는

Part I

1. 혼자 풀어보기

2. 답 확인하기

3. 근거 확인하기

 

 

Part II.

1. 혼자하기 (혼자 먼저 고민해 보는 과정)

2. 분석하기 (고민한 것이 어떻게 분석되었는가 파악하고 추가 이해가 필요한 부분 확인 과정)

3. 복습하기 (새롭게 배운 내용 확실하게 연습해서 내 것으로 만들기)

 

 

 

Part I

 

 

1. 혼자 풀어보기

 

40. 다음 글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고자 한다빈칸 (A), (B)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From a cross-cultural perspective the equation between public leadership and dominance is questionable. What does one mean by ‘dominance’? Does it indicate coercion? Or control over ‘the most valued’? ‘Political’ systems may be about both, either, or conceivably neither. The idea of ‘control’ would be a bothersome one for many peoples, as for instance among many native peoples of Amazonia where all members of a community are fond of their personal autonomy and notably allergic to any obvious expression of control or coercion. The conception of political power as a coercive force, while it may be a Western fixation, is not a universal. It is very unusual for an Amazonian leader to give an order. If many peoples do not view political power as a coercive force, nor as the most valued domain, then the leap from ‘the political’ to ‘domination’ (as coercion), and from there to ‘domination of women’, is a shaky one. As Marilyn Strathern has remarked, the notions of ‘the political’ and ‘political personhood’ are cultural obsessions of our own, a bias long reflected in anthropological constructs.

*coercion: 강제 **autonomy: 자율
***anthropological: 인류학의

It is (A)_______________ to understand political power in other cultures through our own notion of it because ideas of political power are not (B)________________ across cultures.

 

          (A)                         (B)

① rational                    flexible

② appropriate             commonplace

③ misguided               uniform

④ unreasonable          varied

⑤ effective                  objective

 

 

 

 

 

 

 

 

 

 

 

 

 

 

 

 

 

 

 

 

 

2. 답 확인하기

 

 

 

 

 

 

 

③ misguided               uniform

 

 

 

 

 

 

 

 

 

3. 근거 확인하기

요약문제는 요약문을 먼저 보고 접근하면 훨씬 쉬워요!!

It is (A)_______________ to understand political power in other cultures through our own notion of it / because ideas of political power are not (B)________________ across cultures.

 

 

분석해보면,

It is (A)_______________ 

->이것은 (A)__하다

 

 

to understand political power in other cultures through our own notion of it / 

-> 다른 문화의 정치적 권력을 이해하는 것은 / 우리 자신의 개념을 통해

-> 내가 가진 개념으로 다른 문화의 정치 권력을 이해한다면??? 

-> 바람직할까??  아닐까??

 

 

 

because ideas of political power are not (B)________________ across cultures.

-> 왜냐하면 정치권력에 대한 생각들은 여러 문화들 전반적으로  (B)______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 문화마다??? 

 

혹시??

 

벌써 답이??

 

 

 

 

 

보기를 보면

          (A)                                              (B)

① rational  (합리적인)                       flexible (유연한, 융통성 있는)

② appropriate (적절한)                     commonplace (흔한)

③ misguided  (잘못 이해된)              uniform (일관된, 동일한, 획일적인)

④ unreasonable  (불합리한)             varied (다양한)

⑤ effective  (효과적인)                     objective (객관적인)

 

네, 이렇게 그냥 요약문만 봐도 답의 윤곽이 잡히는 경우가 있습니다.

 

 

 

난이도 '하'의 문제입니다.

 

 

그래, 나두 맞췄다!!

 

 

그래도, 본문 내용을 확인하죠. (노란 색 부분에 결정적 힌트를 확인해보시구요)

From a cross-cultural perspective the equation between public leadership and dominance is questionable. What does one mean by ‘dominance’? Does it indicate coercion? Or control over ‘the most valued’? ‘Political’ systems may be about both, either, or conceivably neither. (정치 시스템은 둘다, 둘 중 하나, 혹은 둘 다 아닐 수도 있다)

The idea of ‘control’ would be a bothersome one for many peoples, as for instance among many native peoples of Amazonia where all members of a community are fond of their personal autonomy and notably allergic to any obvious expression of control or coercion. 

The conception of political power as a coercive force, while it may be a Western fixation, is not a universal. (정치적 권력이 항상 보편적인 것, 즉, 널리 통용되는 것은 아니다)

It is very unusual for an Amazonian leader to give an order. If many peoples do not view political power as a coercive force, nor as the most valued domain, then the leap from ‘the political’ to ‘domination’ (as coercion), and from there to ‘domination of women’, is a shaky one. As Marilyn Strathern has remarked, the notions of ‘the political’ and ‘political personhood’ are cultural obsessions of our own, a bias long reflected in anthropological constructs.(정치적이라는 개념은 우리 자신의 문화에 깔린 일종의 편견이다)

 

 

 

맞췄으니 축제를 ~~!!!

 

 

 

 

 

 

 

 

 

이번엔, 처음부터 끝까지 완벽하게 이해하볼까요?

 

 

 

 

 

 

Are you ready?

 

 

 

 

 

Part II.

혼자하기

From a cross-cultural perspective the equation between public leadership and dominance is questionable. 

 

 

 

 

분석하기

From a cross-cultural perspective / the equation / between public leadership and dominance / is questionable. 

-> 비교 문화적 관점으로 부터(보면) / 방정식은 / 대중적인 지도력과 지배력 사이에서의 (방정식은) / 의심스럽다.

-> 의심스럽다??  아, 이게 과연 옳은가? 의구심이 든다는 말입니다.

방정식 = 대중적인 지도력이 크면 ?? -> 지배력도 크다?? 이게 안맞을 수 있다는 겁니다.

뭔 소리냐, 미키!

 

 

 

복습하기

From a cross-cultural perspective the equation between public leadership and dominance is questionable. 

비교 문화적 관점에서 대중적인 지도력과 지배력 사이의 방정식은 의심스럽다.

 

 

 

 

 

 

혼자하기

What does one mean by ‘dominance’? 

 

 

 

 

분석하기

What does one mean by ‘dominance’? 

-> '지배력'이라는 것은 무엇을 뜻하는 것인가?

-> 지배력은 당연히 사람들 위에서 사람들을 부리는 거 아닌가? 

 

어이, 미키~!!

 

 

 

 

복습하기

What does one mean by ‘dominance’? 

 ‘지배력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혼자하기

Does it indicate coercion? Or control over ‘the most valued’? 

 

 

 

 

분석하기

Does it indicate coercion? Or control over ‘the most valued’? 

-> 그것이 강제를 나타내는가? / 아니면 '가장 가치있는 것'에 대한 통제인가?

-> control over A : A에 대한 통제 -> A를 통제하는 힘

 

 

 

복습하기

Does it indicate coercion? Or control over ‘the most valued’? 

그것은 강제를 나타내는 것인가아니면 가장 가치 있는 것에 대한 통제인가

 

 

 

 

 

 

 

혼자하기

‘Political’ systems may be about both, either, or conceivably neither. 

 

 

 

 

분석하기

‘Political’ systems may be about both, / either, / or conceivably neither. 

-> '정치적' 시스템은 둘 다에 관한 것일 수도 있고 / 둘 중 하나에 관한 것일 수도 있고 / 아니면 아마도 둘 다에 관한 것이 아닐 수도 있다.

-> both : 둘 다인 -> 둘 다 긍정하는 '양자긍정'

-> either : 둘 중의 하나인 ->  둘 중의 하나만 긍정하는 '선택 긍정'

-> neither : 둘 다 아닌 -> 둘 다 부정하는 '양자부정'

 

 

 

복습하기

‘Political’ systems may be about both, either, or conceivably neither. 

정치적’ 시스템은 둘 다에 관한 것일 수도둘 중 하나에 관한 것일 수도아니면 아마도 둘 다에 관한 것이 아닐 수도 있다

 

 

 

 

 

 

혼자하기

The idea of ‘control’ would be a bothersome one for many peoples, as for instance among many native peoples of Amazonia where all members of a community are fond of their personal autonomy and notably allergic to any obvious expression of control or coercion. 

 

 

 

 

분석하기

The idea of ‘control’ would be a bothersome one for many peoples, as for instance among many native peoples of Amazonia where all members of a community are fond of their personal autonomy and notably allergic to any obvious expression of control or coercion. 

-> '통제'라는 생각은 성가신 것일 것이다 / 많은 부족들에게 / 예를 들면 많은 아마존의 원주민 부족들 사이에서처럼 말이다 /  공동체 모든 구성원들이 개인의 자율성을 좋아하고 / 확연하게 어떠한 통제나 강압에 해당하는 명백한 표현에도 몹시 싫어하는 (부족들)

-> 아, 아마존 지역의 원주민 부족들 예를 통해서 '누군가 집단을 다스린다' 라는 개념이 '통하지 않는' 예를 나타냅니다. 즉, 이들에게는 '통제를 통한 정치'는 통하지 않는다는 말이죠.

 

우린 자유다!!!

 

 

 

 

복습하기    

The idea of ‘control’ would be a bothersome data-one for many peoples, as for instance among many native peoples of Amazonia where all members of a community are fond of their personal autonomy and notably allergic to any obvious expression of control or coercion. 

통제라는 생각은 많은 부족에게는 성가신 것일 텐데예를 들어 공동체의 모든 구성원이 개인의 자율성을 좋아하고 통제나 강제가 명백하게 표현되는 어떤 것이든 몹시 싫어하는 아마존의 많은 원주민 부족 사이에서처럼 말이다

 

 

 

 

 

 

혼자하기

The conception of political power as a coercive force, while it may be a Western fixation, is not a universal. 

 

 

 

 

분석하기

The conception of political power as a coercive force, while it may be a Western fixation, is not a universal. 

-> 정치 권력이라는 개념은 / 강제적인 힘으로서 / 그것이 서양의 고정관념일지도 모르지만 / 보편적인 것은 아니다.

-> 동격의 전치사 of 입니다. 

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추상적 의미의 명사 + of +       명사 

The conception       of      political power

개념                      ~이라는      정치 권력

 

 

쉽다, 아주 쉽네!

 

 

 

복습하기

The conception of political power as a coercive force, while it may be a Western fixation, is not a universal. 

서양의 고정관념일지 모르겠지만, ‘강제적인’ 힘으로서 정치 권력이라는 개념은 보편적인 것이 아니다

 

 

 

 

 

혼자하기

It is very unusual for an Amazonian leader to give an order. 

 

 

 

 

분석하기

It is very unusual / for an Amazonian leader to give an order. 

-> 그것은 매우 이례적이다(보통의 경우가 아님) / 아마존의 지도자가 명령을 내리는 것은

-> 가주어(It) + 의미상의 주어(for + 명사) + 진주어(to 부정사) ~ 구문입니다.

해석을 할 때에는 의미상의 주어 앞에서 끊어서 해석합니다.

It is very unusual 그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 for an Amazonian leader / to give an order. 

 

/ 아마존의 지도자가 / 명령을 내리는 것은

 

의미상의 주어는 '주어'처럼 해석합니다. ->    '~이', '~가' 

 

 

 

 

 

복습하기

It is very unusual for an Amazonian leader to give an order. 

아마존의 지도자가 명령을 내리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혼자하기

If many peoples do not view political power as a coercive force, nor as the most valued domain, then the leap from ‘the political’ to ‘domination’ (as coercion), and from there to ‘domination of women’, is a shaky data-one. 

 

 

 

 

분석하기

If many peoples do not view political power as a coercive force, / nor as the most valued domain, / then / the leap / from ‘the political’ to ‘domination’ / (as coercion), / and from there / to ‘domination of women’, / is a shaky data-one. 

-> 만약 많은 사람들이 정치 권력을 강제적인 힘으로 본다면 / 가장 가치있는 영역으로가 아니라 / 그러면 / 비약은 / 정치적인 것으로부터 / 지배로(강제로서) / 그리고 그곳에서 / 여성에 대한 지배로의 (비약은) / 불안정한 비약이다.

-> 정치 권력을 가졌다 = 강제로 밀어붙이면 된다??? 먹힐 리 없죠.

-> 그래서 여성을 지배해도 된다 ?? -> 불안정한 비약이다!! 즉, 이런 논리가 제대로 사람들 사이에서 이해되고 통용될 리가 없다!! 

 

 

-> 정치 권력을 가졌다 = 가장 가치있는 영역에 있는 것이다 !!!

 

이 문자이 길긴 하지만, 주어는 the leap 이고, 동사는   is입니다.

 

 

 

 

복습하기

If many peoples do not view political power as a coercive force, nor as the most valued domain, then the leap from ‘the political’ to ‘domination’ (as coercion), and from there to ‘domination of women’, is a shaky data-one. 

많은 부족이 정치 권력을 강제적인 힘으로, ‘또한 가장 가치 있는 영역으로’ 여기지 않는다면, ‘정치적인 것에서 (강제로서의) ‘지배, ‘그리고 거기에서’ ‘여성에 대한 지배로 비약하는 것은 불안정한 비약이다

 

 

 

 

 

 

 

혼자하기

As Marilyn Strathern has remarked, the notions of ‘the political’ and ‘political personhood’ are cultural obsessions of our own, a bias long reflected in anthropological constructs.

 

 

 

 

분석하기

As Marilyn Strathern has remarked, / the notions / of ‘the political’ and ‘political personhood’ / are cultural obsessions of our own, / a bias / long reflected in anthropological constructs.

-> Marilyn Strathern 이 말한 것처럼 / 개념은 / '정치적인 것'과 '정치적 개성' 이라는 / 우리 자신의 문화적 강박관념이다 / 즉, 편견이다 / 인류학적 구성 개념에서 오랫동안 반영된

 

-> 동격이 보입니다. 동격은 '명사, 명사'  이런 식으로 표현되기도 하는데요, 문장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the notions / of ‘the political’ and ‘political personhood’ / are cultural obsessions of our own, / a bias / long reflected in anthropological constructs.

 

 

 

 

 

 

복습하기

As Marilyn Strathern has remarked, the notions of ‘the political’ and ‘political personhood’ are cultural obsessions of our own, a bias long reflected in anthropological constructs.

Marilyn Strathern이 말한 것처럼, ‘정치적인 것과 정치적 개성이라는 개념은 우리 자신의 문화적 강박 관념으로인류학적 구성 개념에 오랫동안 반영된 편견이다. 

 

 

 

 

 

 

요약문 : 

혼자하기 

It is (A)misguided to understand political power in other cultures through our own notion of it because ideas of political power are not (B)uniform across cultures.

 

 

 

 

 

분석하기

It is (A)misguided / to understand political power / in other cultures / through our own notion of it / because ideas of political power / are not (B)uniform across cultures.

-> 이것은 잘못 이해된 것이다 / 정치 권력을 이해하는 것은 / 다른 문화에서의 / 그것에 대한 우리 자신의 개념을 통해 (이해하는 것은) / 왜냐하면 정치 권력에 대한 생각은 / 여러 문화에 걸쳐 일률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 across : ~전체적으로, ~전반적으로 (전치사)

   across cultures 

여러 문화들에 전체적으로 

 

 

복습하기

It is (A)misguided to understand political power in other cultures through our own notion of it because ideas of political power are not (B)uniform across cultures.

정치 권력에 대한 우리 자신의 개념을 통해 다른 문화에서의 정치 권력을 이해하는 것은 잘못 이해된 것인데왜냐하면 정치 권력에 관한 생각은 여러 문화에 걸쳐 일률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어때요, 잘 이해 되셨죠?

 

그리고 절대 지루하지 않았을겁니다.

 

정성이 정말 많이 들어갔거든요.

 

 

 

지금까지

재미짐영어 미키박쌤 이었습니다.

 

 

그리고, 다른 자료도 많이 활용해보세요.

 

 

다음이나 네이버유튜브에서 '미키박' 혹은 '재미짐영어 미키박쌤'이라고 검색하시면

 

정말 많은 유용한 자료들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혹시 교육 상담을 원하시면??

아래 링크를 클릭하세요!!

(목동과 인천 송도 영어교육 상담)

감사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