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대수능기출풀이

미키박쌤의 2021년 대수능기출 22번 지문 해석 및 이해를 위한 상세 해설

미키박 2020. 12. 17. 17:04
728x90

안녕하세요

재미짐영어 미키박 쌤입니다.

 

오늘은

여러분들이 '이해'하는 데

많은버거움을 느끼시는

'2021년 대수능기출 22번'

지문 해석 및 이해를 위한

상세 해설을

포스팅하겠습니다.

​활용 순서

Part I

1. 혼자 풀어보기

2. 답 확인하기

3. 근거 확인하기

 

 

Part II.

1. 혼자하기 (혼자 먼저 고민해 보는 과정)

2. 분석하기 (고민한 것이 어떻게 분석되었는가 파악하고 추가 이해가 필요한 부분 확인 과정)

3. 복습하기 (새롭게 배운 내용 확실하게 연습해서 내 것으로 만들기)

 

Part I

 

 

1. 혼자 풀어보기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Prior to file-sharing services, music albums landed exclusively in the hands of music critics before their release. These critics would listen to them well before the general public could and preview them for the rest of the world in their reviews. Once the internet made music easily accessible and allowed even advanced releases to spread through online social networks, availability of new music became democratized, which meant critics no longer had unique access. That is, critics and laypeople alike could obtain new music simultaneously. Social media services also enabled people to publicize their views on new songs, list their new favorite bands in their social media bios, and argue over new music endlessly on message boards. The result was that critics now could access the opinions of the masses on a particular album before writing their reviews. Thus, instead of music reviews guiding popular opinion toward art (as they did in preinternet times), music reviews began to reflectconsciously or subconsciouslypublic opinion.

*laypeople: 비전문가

 

 미디어 환경의 변화로 음악 비평이 대중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인터넷의 발달로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접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비평가의 음악 비평은 자신의 주관적인 경험을 기반으로 한다.

 오늘날 새로운 음악은 대중의 기호를 확인한 후에 공개된다.

 온라인 환경의 대두로 음악 비평의 질이 전반적으로 상승하였다.

 

 

 

 

 

 

2. 답 확인하기

 

정답 

 

 

3. 근거 확인하기

다음 글의 요지로 가장 적절한 것은?

Prior to file-sharing services, music albums landed exclusively in the hands of music critics before their release. These critics would listen to them well before the general public could and preview them for the rest of the world in their reviews. Once the Internet made music easily accessible and allowed even advanced releases to spread through online social networks, availability of new music became democratized, which meant critics no longer had unique access. That is, critics and laypeople alike could obtain new music simultaneously. Social media services also enabled people to publicize their views on new songs, list their new favorite bands in their social media bios, and argue over new music endlessly on message boards. The result was that critics now could access the opinions of the masses on a particular album before writing their reviews. Thus, instead of music reviews guiding popular opinion toward art (as they did in preinternet times), music reviews began to reflectconsciously or subconsciouslypublic opinion.

*laypeople: 비전문가

 

-> 파일 공유시대 이전엔? -> 음악 앨범은 앨범 발표 전에는 무조건 음악 비평가의 손에 달려 있었지...인터넷 시대부터는? 더이상 음악 비평가의 독점 소유권이 아니게 되었지...대중도 신곡에 쉽게 접근 가능해졌지..그래서 오히려 비평가들이 대중들의 의견을 들여다보는 상황까지 가게 된거라.... 결국 음악에 대한 접근 환경이 변화하면서 비평가들이 이전의 가이드 역할에서 대중의 의견을 반영하게 된 상황까지 오게 되었다.

 

① 미디어 환경의 변화로 음악 비평이 대중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Part II.

 

1. 혼자하기 

Prior to file-sharing services, music albums landed exclusively in the hands of music critics before their release. 

 

 

 

2. 분석하기

Prior to file-sharing services, music albums landed exclusively in the hands of music critics before their release. 

-> 파일 공유 서비스 이전에는 / 음악 앨범은 들어갔다 / 오로지 / 음악 비평가들의 손에만 / 그들(음악 앨범들)의 발매 전에

-> 신곡이 나오기 전에 음악 비평가들은 이미 그 신곡들을 들어볼 수 있었던 시대였습니다.

 

 

 

3. 복습하기

Prior to file-sharing services, music albums landed exclusively in the hands of music critics before their release. 

파일 공유 서비스 이전에, 음악 앨범은 발매 전에 오로지 음악 비평가들의 손에만 들어갔다.

 

 

 

1. 혼자하기

These critics would listen to them well before the general public could and preview them for the rest of the world in their reviews. 

 

 

 

2. 분석하기

These critics would listen to them well before the general public could and preview them for the rest of the world in their reviews. 

-> 이 비평가들은 그들(음악 앨범들)을 듣곤 했다 / 대중이 할 수 있기보다 훨씬 전에(들을 수 있기 보다 훨씬 전에) / 그리고 그들(음악 앨범들)에 대해 시사평을 쓰곤 했다 / 세상의 나머지 사람들을 위해서 / 자신의 비평에서

-> 대중보다 먼저 신곡을 감상하고 그에 대해 평을 하고, 곡이 발표되고, 사람들이 곡도 감상하고 평도 접하게 된다.

 

 

 

3. 복습하기

These critics would listen to them well before the general public could and preview them for the rest of the world in their reviews. 

이런 비평가들은 일반 대중들이 들을 수 있기 훨씬 전에 그것을 듣고 나머지 세상 사람들을 위해 자신의 비평에서 시사평을 쓰곤 했다

 

 

 

 

1. 혼자하기

Once the Internet made music easily accessible and allowed even advanced releases to spread through online social networks, availability of new music became democratized, which meant critics no longer had unique access. 

 

 

 

2. 분석하기

Once the Internet made music easily accessible / and allowed even advanced releases to spread / through online social networks, 

-> 인터넷이 음악을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만들고 / 심지어 미리 공개된 곡들이 퍼질 수 있게 하자 /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서 

-> SNS로 퍼지는 속도는 사실상 제어가 불가능할 정도죠?

-> make + 목적어 + 목적격보어(형용사 : accessible) -> accessibly (X)

-> allow A to V : A가 ~할 수 있게 하다 

 

availability of new music became democratized, / which meant / critics no longer had unique access. 

-> 신곡의 이용가능성이 민주화되었다. / 그런데 그것은 의미했다 / 비평가들이 더이상 유일한(독점적인) 접근권을 갖고있지 않다는 것을(의미했다)

-> 신곡의 이용가능성이 민주화되었다?

아, 신곡을 일반 대중들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군요? 누구나에게 공평한 기회를!

 

 

3. 복습하기

Once the Internet made music easily accessible and allowed even advanced releases to spread through online social networks, availability of new music became democratized, which meant critics no longer had unique access. 

인터넷을 통해 음악을 쉽게 접할 수 있게 되고, 미리 공개된 곡들이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퍼질 수 있게 되자, 신곡을 접할 수 있는 것이 민주화되었는데, 이는 비평가들이 더 이상 그들만이 유일하게 접근할 수 없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했다

 

 

 

 

1. 혼자하기

That is, critics and laypeople alike could obtain new music simultaneously. 

 

 

 

2. 분석하기

That is, / critics and laypeople / alike / could obtain / new music / simultaneously. 

-> 즉 / 비평가들과 비전문가들이 / 똑같이 / 얻을 수 있었다 / 신곡을  / 동시에

-> 달라진 시대.... 비전문가들(일반인들)도 시간 싸움에서 뒤지지 않게 되었다.

 

 

3. 복습하기

That is, critics and laypeople alike could obtain new music simultaneously. 

, 비평가와 비전문가가 똑같이 동시에 신곡을 얻을 수 있었다

 

 

 

 

1. 혼자하기

Social media services also enabled people to publicize their views on new songs, list their new favorite bands in their social media bios, and argue over new music endlessly on message boards. 

 

 

 

 

2. 분석하기

Social media services also enabled / people / to publicize their views on new songs, / list their new favorite bands in their social media bios, / and argue over new music endlessly on message boards. 

-> 소셜 미디어 서비스는 또한 가능하게 했다 / 사람들이 / 신곡들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알리는 것을 / 자신들의 새로운 최애 밴드를 소셜 미디어 약력에 올리는 것을 / 그리고 메시지 게시판에서 신곡에 대해 끊임없이 논쟁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 SNS 가 바꿔놓은 판도입니다. 사람들이 자신의 의견을 마음껏 펼치고, 팬덤을 자신의 SNS에 보이고, 신곡에 대한 거리낌없는 주장도 펼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죠.

-> enable A to V : A가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다 -> 그런데 병렬이군요. 병렬의 경우에는 등위접속사(and, but, or 등)를 사용하는데요, 등위 접속사는 맨 마지막 것의 앞에 사용합니다. 즉, A, B, and C 이렇게 말이죠.

문장에서는  enabled people to publicize ~ /  list    ~, and argue ~ 였습니다. 

 

 

 

3. 복습하기

Social media services also enabled people to publicize their views on new songs, list their new favorite bands in their social media bios, and argue over new music endlessly on message boards. 

소셜 미디어 서비스는 또한 사람들이 신곡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알리고, 자신의 소셜 미디어 약력에 자신이 좋아하는 새로운 밴드의 리스트를 작성하고, 메시지 게시판에서 신곡을 놓고 끝없이 논쟁할 수 있게 했다

 

 

 

 

 

1. 혼자하기

The result was that critics now could access the opinions of the masses on a particular album before writing their reviews. 

 

 

2. 분석하기

The result was / that critics now could access the opinions of the masses / on a particular album / before writing their reviews. 

-> 그 결과는 ~였다 / 비평가들은 이제 대중들의 의견에 접근할 수 있다 / 특정한 앨범에 대한 (의견) / 자신의 비평을 쓰기 전에

-> 오호, 예전에는 신곡 발표 전에 미리 곡을 접해서 비평한 것을 대중에게 알린 반면, 인터넷 시대부터는 자신의 비평을 발표하기 전에 먼저 대중의 의견을 참고하는 비평가들이 되었습니다.

-> be that ~ 일 경우에 that 은 명사절 접속사입니다.

be 동사 + 보어 (명사, 형용사, 부정사) 입니다. 따라서 명사절 접속사 that 입니다. 물론, 접속사 다음에는 완전문이 오죠. 그리고 이때, that 은 '~것' 이라고 해석합니다.

 

 

3. 복습하기

The result was that critics now could access the opinions of the masses on a particular album before writing their reviews. 

그 결과 비평가들은 이제 자신의 비평을 쓰기 전에 특정 앨범에 관한 대중의 의견을 접할 수 있었다

 

 

 

 

1. 혼자하기

Thus, instead of music reviews guiding popular opinion toward art (as they did in preinternet times), music reviews began to reflectconsciously or subconsciouslypublic opinion.

 

 

 

2. 분석하기

Thus, instead of music reviews guiding popular opinion toward art (as they did in preinternet times), music reviews began to reflectconsciously or subconsciouslypublic opinion.

-> 그러므로 / 음악 비평들이 예술에 대한 여론을 인도하는 게 아니라 (인터넷 이전 시대에 그랬듯이) / 음악 비평은 반영하기 시작했다―의식적으로건 잠재의식적으로건―대중의 의견을 

 

 

 

3. 복습하기

Thus, instead of music reviews guiding popular opinion toward art (as they did in preinternet times), music reviews began to reflectconsciously or subconsciouslypublic opinion.

그리하여 (인터넷 이전 시대에 했던 것처럼) 예술에 관한 여론을 인도하는 대신에, 음악 비평은 의식적으로든 혹은 잠재의식적으로든 여론을 반영하기 시작했다.

 

 

어때요, 제대로 파악하셨죠?

 

 

지금까지 재미짐영어 미키박쌤이었습니다.

 

 

 

다른 자료도 많이 활용하세요.

 

 

 

다음이나 네이버 유튜브에서 '미키박'이라 검색하시면 

 

 

 

 

 

 

 

많은 자료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728x90